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최소한의 아이 경제공부 이렇게 시키자 경제 똑순이 만들기

by 블로그로월천만원 2025. 1. 20.

오늘은 아이 경제 공부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의 영어, 한글, 수학 공부에 대해서는 학교, 학원에서도 많이 다루지만 그 어느 곳에서도 아이들에게 경제 공부를 가르쳐주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에게도 경제 공부는 중요합니다.

대부분 성인이 되면 경제 공부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렸을 때부터 경제 교육을 받은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경제 공부를 받아들이는 것에 있어 당연히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님들이 학생때부터 아이들에게 경제 공부를 시켜야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아이들과 경제공부를 해야하나?

경제공부라는 것이 어려운 게 아닙니다. 경제공부라 함은 말 그대로 돈에 대해 이해를 하고 돈을 버는 것을 실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시작하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용돈 교육으로 경제공부를 시작하는데, 이때 아이들인 용돈을 벌고 모으고, 쓰고 그다음에는 모은 돈으로 투자도 해보고 그리고 세상을 위해서 돈을 나누는 것까지 해보면 되는 것입니다.

 

위와 같은 행위를 거창하게 하는 것이 아닌 실생활에서 부모와 함께 대화를 끊임없이 나누면서 시도해 보는 것입니다.

 

경제공부를 하면 아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생기나요?

먼저 경제공부를 한 아이들은 돈에 대해서 부모님에게 던지는 질문이 달라집니다.

 

이전에는 아무 생각 없이 돈을 달라고 하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경제 공부를 한 이후에는 아래와 같이 변화됩니다.

 

첫 번째, 돈이라는 게 그냥 나오는 게 아닌 것을 알게 됩니다.

두 번째, 자기가 스스로 돈을 버는 경험을 하면서 돈은 나의 노동과 시간을 맞바꾸는 행동임을 알게 됩니다.

세 번째, 그로 인해 돈을 대하는 자세와 태도가 변하게 됩니다.

 

구체적인 엄마표 경제 공부 방법

이와 같이 왜 아이들에게 경제공부를 해야 하는지, 아이들이 경제공부를 함으로써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에 대해서는 알아보았습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경제 공부를 하는 것이 중요한 것 또한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아이들에게 경제 공부를 할 수 있을까요?

 

1. 집안일 목록을 메뉴판으로 만들기 

아이들에게 용돈을 줌으로써 돈을 벌게하는 원리로 시작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집안일 목록을 메뉴판으로 만들어서 아이들이 돈을 버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집안일 목록마다 그 금액을 쓰는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메뉴판에 돈을 적고 보너스는 어떨 때 받을 수 있는지를 적어놓는 것입니다.

보너스라 함은 무언가 꾸준히 기간을 가지고 성공해 냈을 때 주는 항목이었는데, 이를 통해서 아이들이 일회성 행위에 그치지 않고 무언가 끈기를 갖고 할 수 있는 원동력을 만들어 줍니다.

 

2. 벌금 항목을 메뉴판으로 만들기

집안일 목록에 그에 맞는 금액이 정해져 있듯이 벌금 항목에도 그에 맞는 금액이 정해져 있고 이를 메뉴판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집안일을 함으로써 돈을 버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돈이 빠져나가는 것도 아이들이 알아야 하는데 이때 벌금 항목을 메뉴판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가정을 작은 사회라고 생각하였을 때 가정에도 작은 규칙들이 있습니다. 그 작은 규칙들을 항목으로 작성하고 이러한 규칙을 지키지 않았을 때 벌금을 매기는 것입니다. 그러면 아이가 이 규칙을 지키지 않았을 때 자연스레 아이가 모은 돈이 빠져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 아직 수의 개념이 적립되지 않은 아이들은 항목 별 금액이 생소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아래의 수세기 방식 글을 통해 아이에게 알려주면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수세기를 어느 정도 적응하면 경제공부를 시작하면 좋습니다.

 

 

우리 아이 수학은 일상 생활 속만으로도 가능

오늘은 우리 아이 수학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이 글은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 유아기 아이의 수학 사고력을 키우는 내용입니다. 유아기 아이의 수학 사고력을

111.ceh8141.com

 

 

3. 계약서 작성하기

이렇게 집안일 목록과 벌금 목록이 작성된 메뉴판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 숙지하고 아이들 이름으로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계약서에 아이들의 이름이 찍힌 도장을 찍고 하면서 아이들과 경제 교육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4. 저금통 3개 마련하기

메뉴판이 만들어지고 아이들 이름으로 작성된 계약서까지 만들어졌다면 아이들 이름이 붙여진 저금통을 마련합니다.

 

이때 저금통은 3개를 만들어야 합니다.

저축 저금통 1개, 투자 저금통 1개, 기부 저금통 1개 총 3개의 저금통을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차근차근 매일 반복해 주면 아이들이 돈의 소중함을 알게 되고 부모님과 대화할 소재가 넘쳐나게 되고 같이 신문을 읽어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5. 경제 공부를 꾸준히 할 수 있는 비결은?

위와 같이 가정에서 경제공부를 하다 보면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경제 공부를 꾸준히 할 수 있을까요?

 

바로 계약서에 답이 있습니다. 계약서에는 계약기간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한 달짜리 계약을 진행합니다.

이 용돈 규칙은 한 달 동안 유효하다는 것을 아이에게 이야기합니다.

 

계약기간인 한 달이 지난 후 고칠 게 있으면 아이와 함께 계약의 내용을 수정한 후 아이와 2달짜리 계약을 진행합니다.

 

그리고 또다시 6개월 동안 계약을 진행하는 등 계약기간을 늘려나가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부모님도 계약을 지켜야 하는 것입니다.

 

그 규칙에 따라서 용돈을 지급해야 하고 아이가 요구했을 때 그 계약서에 적혀있는 대로 부모님도 약속을 지켜야 합니다.

이렇게 계약서에 적혀있는 계약관계를 잘 지키면 습관으로 형성됩니다.

 

6. 용돈 주는 방식

용돈은 주급으로 아이들에게 지급합니다.

아이들은 주마다 용돈을 받고 그 용돈을 저축, 투자, 기부 저금통에 넣는 것이 자연스러워집니다.

 

그러면 의식을 하지 않아도 엄마는 아이에게 용돈을 아이에게 지급하면 아이가 스스로 그걸 굴려나갑니다.

 

7. 실제로 아이가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자

요즘 대부분 카드로 결제를 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돈의 개념을 배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아이와 편의점에 갈 때 또는 은행에 갈 때 아이들이 실제로 현금을 내면서 경제 활동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좋습니다.

 

가정에서 부모가 용돈을 주고 그 돈을 저축하였습니다.

그리고 저축한 돈의 목표가 채워졌으면 아이와 함께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기 위해 은행에 방문합니다.

은행에 방문해서 아이 이름의 통장을 직접 만들게 하고 아이는 저금통에 저축한 돈을 은행에 직접 내게 하고 통장에 돈이 저축된 것을 직접 눈으로 보게 하는 것입니다. 

 

그럼 아이는 본인 명의의 통장에 본인이 가정생활에서 경제활동을 함으로써 모은 돈을 다시 저축하고 통장에 찍힌 돈을 보고 돈에 대한 개념이 잡히게 되는 것입니다.

 

저축 외 소비도 같습니다. 아이와 함께 아이가 모은 돈으로 편의점에 방문합니다. 편의점에서 아이는 과자를 고르고 아이에게 과자 가격을 알려줍니다. 과자 가격이 1,500원임을 알려주고 아이가 가져온 돈이 2,000원이기 때문에 과자를 살 수 있다고 아이에게 이야기합니다.

 

그럼 아이는 가져온 돈 2,000원을 편의점 직원에게 내고 2,000원에서 1,500원을 뺀 500원을 돌려받게 됩니다. 그리고 그 돈인 500원은 아이의 저금통에 넣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아이와 가정에서의 경제활동을 넘어서 실생활에서도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