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책 잘읽는 아기, 책에 흥미있는 아기로 키우는 방법

by 블로그로월천만원 2024. 12. 12.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이라면 아이가 책을 가까이하기를 원하실 것입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책은 아이의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무엇보다 교육 증진에도 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책 읽는 아이들을 보면 모두 다릅니다. 어떤 아이는 책에 흥미를 갖고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 어떤 아이는 책만 보여줘도 싫증을 내는 아이가 있습니다.

 

이제 막 세상에 태어나서 책을 접한 시간이 동일할 텐데 왜 책을 대하는 아이들의 태도가 다 다른 것일까요?

 

바로 아이에게 읽어주는 부모의 책 읽기가 잘못되었기 때문입니다.

 

아래와 같이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어야 아이는 책에 흥미를 갖게 되고 창의력 또한 증진됩니다.

 

책 잘 읽는 아기, 책에 흥미 있는 아기로 키우는 방법

1. 양보다는 질

하루에 몇 권의 책을 읽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아이에게 몇 권의 책을 읽게 하는 부모님이 계십니다.

다독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다독이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다시 말해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한 권의 책을 읽더라도 부모는 아이와 소통을 하면서 책을 다양한 관점으로 읽는 게 중요합니다.

 

그런데 아이에게 다독을 시키게 되면 아이는 책의 내용에 집중하지 못하고 하루에 몇 권의 책을 읽었는지가 중요해지면서 책을 읽는 것이 숙제가 되어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아이는 책 자체에 흥미를 잃게 됩니다. 

 

2. 부모와의 소통이 중요하다

부모가 아이에게 책을 읽어줄 때 중요한 것은 아이와의 소통입니다. 부모와 아이가 상호 작용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때 상호작용이란 아이와 동등한 위치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책을 읽고 책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아이와 물 흐르듯이 대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등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런데 상호작용이 아닌 답이 정해진 질문을 아이에게 하는 것은 오히려 아이의 창의력이 낮아지는 대화법이 되는 것입니다.

 

부모와 책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소통을 하면서 자유롭게 이야기를 하고 아이가 자유롭게 생각하여 상상력을 자극해야 하는데 답을 정해진 질문을 하게 되면 아이의 사고는 갇히게 됩니다.

 

아이가 스스로 자유롭게 자기의 이야기를 부모에게 하고 부모가 이를 받아주고 대화가 이루어지면 아이의 창의력뿐만 아니라 자존감 또한 높아지게 됩니다.

 

그런데 반대로 사고를 정지시키게 하는 질문을 주고받게 되면 아이는 책에 대해 점점 흥미를 잃게 되는 것입니다.

 

3. 아이의 속도를 맞추자

아이와 책을 읽고 상호작용을 할 때 아이의 속도에 맞춰 책을 읽는 게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질문을 하였을 때 아이는 책의 내용을 이해하고 생각하고 부모에게 대답합니다. 그런데 아이가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주지 않게 되면 아이는 자유롭게 생각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아이의 속도에 맞추지 않고 부모의 속도에 맞추어 아이에게 질문을 유도하게 되면  아이는 점점 자신감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충분히 생각할 시간을 주고 아이의 속도에 맞추어 상호작용을 해야 합니다.

 

4. 글자에 집중하지 말고 책의 내용에 집중하자

책을 읽을 때 글자에 집중하는 게 아닌 책의 내용에 집중해야 합니다.

글자에 집중하게 되면 아이의 사고는 글자로 편협하게 되고 창의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가 글자를 늦게 알수록 창의력은 높아집니다. 

아이와 책을 읽을 때 책의 내용을 가지고 소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